참가업체 정보 | Company Info
업체정보 | Company Info
부스번호 (Booth) : I-07
대표자 (CEO) |
박 영 삼 |
주소 (Address) |
경남 양산시 용당산단4길 27 (용당동) |
전화번호 (Tel) |
055-366-7068 |
홈페이지 (Homepage) |
http://www.korea-tech.net/ |
참가 분야 |
|
출품 품목 |
시편 전처리 장비, 부품 청정도 이물질 추출 장비, 자동 입자 계수 현미경 등 |
회사소개 | Company Info
[국내 유일의 ‘부품 청정도 이물질 추출장비’ 전문 제조업체, 정밀 시험장비 분야의 기술 리더]
1998년 설립된 코리아테크주식회사는 시편전처리 장비 및 부품 청정도 시험 장비 분야에서 25년 이상의 기술력을 보유한 정밀 장비 전문기업입니다.
정밀 가공 소재의 품질평가와 분석을 위한 전처리 장비는 물론, 산업 전반의 품질 신뢰성과 생산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이물질 추출 및 청정도 분석 시스템까지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하며, 국내는 물론 해외 시장에서도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.
부품 청정도 이물질 추출 장비 분야뿐만 아니라, 시편 전처리 장비 분야, 신뢰성 시험 분야의 시험기기에 대한 총 10개 이상의 국내 특허를 바탕으로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.
특히 코리아테크주식회사는 ‘부품 청정도 이물질 추출장비’를 국내에서 유일하게 자체 개발 및 제조하는 전문기업으로, 배터리산업분야를 비롯한 중장비, 항공우주, 농기계, 조선기자재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당사의 부품 청정도 이물질 추출 장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.
더 나아가 흡입형 이물질 추출 장비의 명가, 독일 Clean Controlling 社 국내 공식 판매업자로써 제품 다변화를 통해 사업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있습니다. 빠른 A/S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, 해외 시장의 선두주자가 되도록 항상 도전하고 연구하는 코리아테크주식회사입니다.
출품제품 정보 | Product Info
“먼지가 아닙니다. 데이터입니다.”
보이지 않는 이물질 하나가 제품 불량의 원인이 됩니다. 하지만 그 입자 하나를 정확하게 추출하고 정량화하려면, 단순한 세척 장비를 넘어선 …
제품문의
코리아테크는 VDA 19.1 및 ISO 16232 기준에 따라, 필터에 남은 입자의 크기, 개수, 형태를 자동으로 분석할 수 있는 맞춤형 자동 입자 계수 현미경 시스템을 함께 공급…
제품문의
분석 결과의 신뢰도는 시편 준비에서 결정됩니다. 코리아테크 주식회사의 시편 전처리 장비는 금속, 합금, 세라믹, 복합소재 등 다양한 재료의 분석을 위한 정밀한 전처리 공정에 적합하…
제품문의
“자르고 끝? 아닙니다. 이건 시작입니다.”
정밀 분석을 위한 시작은 절단면에서 결정됩니다. 단순해 보이는 컷팅 공정도, 품질 분석에서는 절대 가볍게 다뤄질 수 없습니다. …
제품문의
코리아테크의 마운팅성형기는 시편의 보호와 후속 시험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설계된 자동 열간 마운팅 장비입니다. 연마, 경도 시험, 조직 분석 등 전처리 과정에서 시편의 파손과…
제품문의
코리아테크의 폴리싱기는 시편의 표면을 균일하고 정밀하게 연마하여, 조직 관찰 및 경도 시험에 최적화된 손상 없는 표면 상태를 구현합니다. 보급형부터 고급형, 자동 회전 및 수동 조…
제품문의
“정확한 시험은 정확한 힘에서 시작됩니다.”
시험 결과의 신뢰도는 얼마나 정밀하게 하중을 제어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.
코리아테크의 만능재료시험기는 인장, 압축, 굽힘 등 다…
제품문의
세상에 없던 시험기, 코리아테크가 만듭니다.
코리아테크는 시험 목적에 맞춘 설비를 직접 설계·제작하는 주문제작형 시험기 전문 기업입니다.
조미니 시험기, 안전벨트 내구성 시…
제품문의
전시회 참가 계획 및 목표 | Exhibition plan and objectives
1. 신규 산업군 및 바이어 개척
→ 자동차,2차전지, 항공우주, 방산제품, 중장비부품, 전자부품, 반도체 관련 품질관리 담당자 대상
2. 국내외 브랜드 인지도 제고
→ 국내 코리아테크의 시편 전처리 장비 브랜드 인지도 제고, 독일 Clean Controlling 협력사 및 수출 확대 사례 중심 홍보
3. 기술 협업 및 수출 확대 기반 확보
→ 기존 수출국 외 신규 지역 발굴(동남아, 중동, 중남미 등)
4. 시장 피드백 확보 및 R&D 방향 설정
→ 현장 고객 의견 수렴 후 제품 개선 및 신모델 개발 반영